
chatgpt를 이용해서 웹피(webp) 변환기를 만들어보겠습니다. png 또는 jpg파일을 웹피(webp)로 변환해 주는 사이트는 인터넷 포털을 통해서 쉽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사이트들이 보기 싫은 광고가 많고 여러 개 파일을 변경하려고 할 때는 유료 플랜을 가입해야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직접 만들어봤습니다. 아주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변환기가 완성됐습니다. 아래 그림은 웹피 변환기 모습인데요. chatgpt를 이용해서 만들었습니다. 웹피(webP)를 이용하는 이유 웹피는 구글에서 만들었습니다. gif, jpg, png 등 파일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요. 웹피의 장점은 이미지 품질은 같으면서 파일의 용량은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최근 워드프레스, 티스토리 블로그 운영하여 구글..

vscode 유용한 extension 설치 vscode 다운 받기 : 여기를 클릭하면 vscode 홈페이지로 이동됩니다. vscode를 실행하고 아래 그림 1에서 빨간색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세요. 검색창에 추가하고자 하는 익스텐션의 이름을 넣고 엔터키를 치세요. 설치하면 유용한 extension 소개 1. Code Spell Checker 영어 오타 찾아줍니다. 2. Live server 작성한 html의 결과를 보여줍니다. 3. prettier-code formatter 코드 체계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해줍니다. 4. Auto Rename Tag 시작 태그를 수정하면 마감 태그가 자동으로 수정됩니다. 5. Auto Close Tag 시작 태그를 수정하면 마감 태그가 자동으로 수정됩니다.

파이썬 크롤링 시 beatifulsoup을 이용하여 크롤링을 하다 보면 headers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럴 경우 사용자 에이전트, 즉 User-Agent를 입력하면 해결된다. 그럼 User-Agent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User-Agent 확인 방법 User-Agent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구글 브라우저 상단의 검색창에 chrome://version을 입력하고 검색한다. 2. 검색결과에 나오는 사용자 에이전트 값이 User-Agent 값이다. User-Agent 적용 예 웹 페이지를 크롤링 할 때 header 정보 입력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필요한 페이지도 있으므로 크롤링 기본 세팅 시 항상 header 정보를 넣고 작업을 하는 것이 편리하겠다. ..

매크로를 해보려고 하는데 리본 메뉴에 매크로가 보이지 않는다. 이것저것 확인해본 결과 옵션에 들어가서 리본 메뉴에 추가하면 된다. 아주 간단하니까 같이 알아보자. 리본 메뉴에 개발도구 설치 아래 그림에서 보면 리본 메뉴에 개발 도구가 없다. 개발도구를 설치해 보자. 먼저 파일을 클릭하고 맨 아래 옵션을 클릭한다. 리본 사용자 지정 클릭 후 개발도구 체크, 그리고 확인을 하면 개발도구가 리본 메뉴에 나타나게 된다. 간단히 개발도구를 리본메뉴에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