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문자열 자료형 만드는 방법과 문자 출력 시 가독성을 좋게 해주는 이스케이프 코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문자열 자료형(str)만드는 방법
- 큰따옴표 사이에 문자 또는 숫자를 쓴다.
- 작은따옴표 사이에 문자 또는 숫자를 쓴다.
- 큰따옴표 3개 사이에 문자와 숫자를 쓴다.
--> 이스케이프 코드 쓰지 않고도 줄 바꿈을 할 수 있다.
d = """백
투더
퓨쳐"""
print(d)
>>>
백
투더
퓨쳐
- 작은따옴표 3개 사이에 문자와 숫자를 쓴다.
--> 큰따옴표와 같음
이스케이프 코드 활용
많이 쓰이는 이스케이프 코드는 아래와 같다.
- \' : 문자열 사이에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문자로 사용할 때 쓴다.
a = ' kim\'s house'
print(a)
>>>
kim's house
- \' : 문자열 사이에 큰따옴표를 그대로 문자로 사용할 때 쓴다.
a = '오늘의 책 \"000은 없다\"'
print(a)
>>>
오늘의 책 "000은 없다"
- \' : 문자열 내에서 줄을 바꿀 때 쓴다
a = '오늘 아침에 운동을 했다.\n그리고 아침을 먹었다.'
print(a)
>>>
오늘 아침에 운동을 했다.
그리고 아침을 먹었다.
'코딩,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편차 공식과 엑셀에서 표준편차 구하는 방법 (0) | 2021.09.24 |
---|---|
python 인덱싱, 슬라이싱 (0) | 2021.09.22 |
python 숫자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사칙연산 해보기 (0) | 2021.09.20 |
고박사의 유니티 기초 따라하기, 유니티 프로그램 설치 (0) | 2021.09.05 |
엑셀에서 텍스트 나누는 2가지 방법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