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비교 연산자는 크다, 작다, 같다 등을 나타내는 기호이고 비교 연산자로 비교된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 선택하는 것이 boolean이다. 그리고 문자, 리스트, 튜플 등 자료형에도 참과 거짓이 정해져 있다.
boolean
아래는 비교연산자로 비교된 값의 boolean에 대한 간단한 예가 있다. 1==1 은 참이므로 True, 1 != 1은 거짓이므로 False로 출력된다.
자료형의 참과 거짓은 다음과 같다
- 문자형 : "파이썬"-->참, 즉 따옴표 안에 문자가 있으면 참 없으면 거짓
- 리스트 : [1,2,3] --> 참, 리스트에 내용이 있으면 참, 없으면 거짓
- 튜플 : (1,2,3) --> 참, 튜플에 내용이 있으면 참, 없으면 거짓
- 딕셔너리 : {"name" : "park"} --> 참, 딕셔너리에 내용이 있으면 참 없으면 거짓
- 0 : 거짓
- 1 : 참
- None : 거짓
문자형을 예로 출력해 보겠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파이썬"은 따옴표 사이에 내용이 있어서 True이므로 "하이"가 출력되고 따옴표 안이 비어있는 것은 False이므로 "누구?"가 출력되었다.
바로 위의 예제에서 조건문이 나왔다. boolean은 제어문(반복문, 조건문)이 실행되는데 선행되는 단계이다. 즉 비교와 선택이 실행된 후에 제어문이 실행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어문 중 조건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코딩,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전체 시트에서 단어 찾기와 바꾸기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1.06 |
---|---|
엑셀 소수점 반올림, 버림, 올림과 원단위 절사 방법 (0) | 2021.10.26 |
파이썬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와 함수 만들어 보기 (0) | 2021.10.24 |
엑셀 피벗테이블(2): 올바른 데이터 입력과 필드 (0) | 2021.10.19 |
엑셀 피벗테이블(1): 간단한 예제로 피벗 익히기 (0) | 2021.10.17 |